ISSUE/정치

김병준, 자유한국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김병준은 누구? 노무현정부 활동, 박근혜정부 ‘거국내각’ 총리 지명

궁금해궁금해 2018. 7. 17. 14:12

김경준, 김성태


김병준 신임 자유한국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17일 "한국정치를 반역사적인 계파논리와 진영논리에서 벗어나게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한국당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제2차 전국위원회를 열어 전국위원 총 631명 중 363명이 참석한 가운데 김 비대위원장 선임 안건을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김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미래를 위한 가치논쟁과 정책 경쟁이 우리 정치의 중심을 이뤄 흐르도록 하는 꿈을 갖고 이 소망을 향해 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정말 무거운 마음으로 이 소명을 했다. 정말 무거운 마음이다"며 "우리 정치가 세상 변화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 가운데 우리 삶이 더 어려워지고 미래가 멀어지면서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고 걱정스럽게 하는 현실이 제 어깨와 머리를 누르고 있어 무겁다"고 말했다.

이어 "'현실 정치를 인정한다'는 말에 계파논쟁과 진영논리를 앞세우는 정치를 인정하고 적당히 넘어가라고 하지 말아달라"며 "잘못된 계파논쟁과 진영논리 속에 싸우다 죽으라고 해 달라. 그렇게 싸우다 죽어 거름이 되면 그것이 오히려 제게 큰 영광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저는 아무런 힘이 없고 계파도 없다. 선거를 앞둔 시점이 아니니 공천권도 없다"면서 "그렇지만 한국당에 대한 국민의 실망과 지탄, 아직도 놓지 않은 희망 한 가닥이 제게는 힘이다"고 역설했다.

김 위원장은 "힘들어지는 경제, 하루하루 미래를 걱정하는 많은 분들의 걱정과 마음이 제게 힘이 될 것"이라며 "이 위에서 저는 제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하겠다. 이 당을 바로 세우고 한국 정치를 바로 세우게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20대 총선 공천권 행사 부분과 관련해 "지금 당장 혁신 비대위가 얼마나 갈지 모르겠지만 남은 선거기간을 생각하면 공천권을 행사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전권형 비대위 또는 관리형 비대위 논란에 대해서는 "무엇을 관리하고 무엇을 혁신할 것인지에 대해 경계가 불명확하다"며 "제가 생각하고 있는 것은 당의 많은 분야를 바꾸는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면 혁신이라는 말이 잘 어울릴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전당대회 시점과 관련해서는 "많이 고민하겠다"며 "내년까지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과 일했던 경험도 있는데 대척점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대척이라고 하지 말고 경쟁관계라고 하라"며 "보완관계라 할 수 있다"고 답했다.

또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 이름을 거론하지 말라'는 주장이 나오는 것에 대해서는 "노무현 정신을 왜곡하는 것"이라며 "노무현 정신은 여기도 대한민국, 저기도 대한민국"이라고 반박했다.

참여정부 거쳐 한국당 구원 등판…김병준, 누구인가

TK 출신이면서 진보 진영서 활동, 박근혜末 ‘거국내각’ 총리 지명
친박-비박과도 두루 교류…전권형 혁신 혹은 전당대회 관리 ‘갈림길’

김경준,노무현 전 대통령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임명된 김병준(64) 국민대 명예교수는 보수진영으로선 발탁 인사다.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핵심과 부총리를 역임했기 때문에 이번에 진영을 달리하게 됐다.

1954년 경북 고령 출생으로 대구상고와 영남대를 졸업하고, 미국 델라웨어대에서 정치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김 교수는 지난 1993년 노 전 대통령이 운영하던 지방자치실무연구소에서 함께 했던 인연을 계기로 노무현정부에 합류했다.

국민대 행정대학원장 재직 시 당시 노무현정부 인수위원회 대통령 자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장을 거쳐 2004년 청와대 정책실장 등을 역임했다.

교육부총리에 임명됐던 2006년 당시 한나라당이 김 교수의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해 취임 13일 만에 퇴임했다. 하지만 10년 뒤 2016년 최순실 게이트 국면에서 탄핵 직전의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무총리로 지명하는 등 파란만장한 개인사를 겪었다.

김 교수는 노무현 정부에 몸 담은 동안 행정도시와 부동산 정책 등 개혁적인 정책을 전면에서 이끈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자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현장감각을 겸비해 정책 추진력이 돋보인다는 평이다.

참여정부를 끝으로 정치 일선을 떠난 후에는 경실련 지방자치위원장과 유권자운동연합 집행위원장을 맡는 등 시민운동을 지속했다. 동시에 친박(친박근혜)계 함승희 전 의원이 만든 싱크탱크인 '포럼 오늘과 내일'의 정책연구원을 맡기도 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79&aid=0003124036